최근 몇 년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0%대에 머물렀습니다.
2025년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근무연수 1년 미만의 공무원에게도 정근수당 지급, 수당 인상 등 여러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위에서 직급별 최신정보 확인 가능합니다▲
2025년 공무원 봉급표
2025년 9급 1호봉의 기본급은 2,000,9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의 1,877,000원에서 약 13만 원 정도 상승한 금액으로,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현실적으로 조정된 결과입니다.
1. 일반직 공무원
- 9급 1호봉: 기본급 2,000,900원
일반직 공무원의 기본급은 직급과 호봉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다양한 수당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2. 교사
- 호봉 체계: 경력과 학력을 반영한 체계
교사의 기본급은 4년제 교대 또는 사범대 졸업자의 경우 9호봉에서 시작하며, 다양한 수당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3. 경찰 및 소방공무원
- 순경 및 소방관 1호봉: 기본급 2,000,900원
경찰과 소방공무원의 기본급은 일반직 공무원과 동일하며, 직무 특성에 따른 별도의 수당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4. 우정직 공무원
우정직 공무원의 기본급은 일반직 공무원과 동일하게 책정되며, 직무 특성에 따른 수당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5. 연구직 공무원
공무원 수당의 변화
1. 가족수당 인상
2025년에는 가족수당이 다음과 같이 인상되었습니다:
- 첫째 자녀: 월 3만 원 → 월 5만 원
- 둘째 자녀: 월 7만 원 → 월 8만 원
- 셋째 이후 자녀: 월 11만 원 → 월 12만 원
가족수당 인상은 공무원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생활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변화입니다.
2. 정근수당 확대
2025년부터는 근무연수 1년 미만의 공무원에게도 정근수당이 지급됩니다. 이는 저연차 공무원의 상대적 박탈감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근매식비 인상
2025년에는 특근매식비(야근 시 제공되는 식비)가 현실화되었습니다:
- 지방직 공무원: 8천 원 → 9천 원 (1천 원 인상)
- 국가직 공무원: 7천 원 → 9천 원 (2천 원 인상)
이전에는 물가 상승에 비해 식비가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불만이 많았지만, 이번 인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2025년 임금 인상의 한계
2025년의 3% 인상률은 공무원의 경제적 안정성과 근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합니다:
-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기에 부족하다는 지적
- 민간 기업과의 임금 격차가 여전히 존재
아쉬운 점: 직급보조비와 정액급식비
공무원노조에서는 2025년 예산안에 대해 정액급식비 1만 원 인상과 직급보조비 25,000원 인상을 요청했으나,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의 복지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