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2025 총정리 조건 지급 일정

월 10만 원씩 3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1,080만 원을 더해줘서 총 1,440만 원을 만들 수 있는 역대급 청년 지원 통장이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신청 마감일은 2025년 5월 21일입니다. 이제 며칠남지 않았습니다. 지금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입 조건, 지원 내용, 신청 방법까지 알려드릴테니 1천만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 놓치지마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중복가입


조건만 맞으면 2025년 기준으로는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가능해요. 단,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두배청년통장 등)과는 중복이 불가하니, 본인이 참여 중인 사업의 성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두 제도를 모두 활용하면 더 큰 자산 형성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매월 10만~30만 원의 지원금을 3년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본인이 3년간 성실히 근로 및 저축을 하면, 최대 1,08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조건이 완화됐습니다.

  - 소득 기준: 세전 230만 원 → 250만 원

지원 대상은?

지원 대상은 ‘차상위 계층’과 ‘차상위 초과 계층’ 두 가지로 나뉘며, 각각 조건이 다릅니다.

✅ 1. 차상위 계층

- 나이: 만 15세~39세

-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1인 가구 기준 약 119만 원 이하)

- 근로조건: 월 소득 10만 원 이상 (근로 or 사업소득)


지원금:

매달 30만 원씩 3년간 최대 1,080만 원 지원

👉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 지원 1,080만 원 = 총 1,440만 원



✅ 2. 차상위 초과 계층

- 나이: 만 19세~34세

-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100% (세전 월소득 약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지원금:

매달 10만 원씩 3년간 최대 360만 원 지원

👉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 지원 360만 원 = 총 720만 원



❌ 지원 불가 대상

다음의 경우에는 지원이 어렵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자

- 육아휴직수당 수령자

- 무급 근로자

- 대학 근로장학생


지원금 받기 위한 조건은?

- 3년간 근로활동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일하는 청년’을 위한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25년 5월 2일 ~ 5월 21일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계좌 개설 및 지원금 지급 일정

- 5월: 신청 접수

- 6~7월: 대상자 선정

- 8월: 대상자 안내 및 계좌 개설



결론: 이건 진짜 안 하면 손해!

정부가 3년간 1,080만 원을 얹어주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요건만 맞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할 제도입니다.

소득이 낮고 근로 중인 청년이라면 이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