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도전지원사업, 뭐가 다를까?

Youth-Support-Programs-2025-Comparison-Guide

“청년을 위한 정부지원, 뭐가 이렇게 많지?” 지원은 풍성하지만, 나에게 맞는 제도를 찾는 건 쉽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시행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전지원사업을 비교표와 함께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소득, 상황,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청년 정책, 지금 체크해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중산층 청년의 목돈 마련

  • 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 (1인 가구 월 510만 원 이하)
  • 나이: 만 19~34세
  • 조건: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재산 3.8억 원 이하
  • 저축액: 월 40~70만 원 자율 저축
  • 정부 지원: 소득구간별 최대 월 12만 원 (기여금 3% 내외)
  • 총 수령액: 약 5,000만 원 이상 (이자 포함, 5년 만기)
  • 특징: 고금리 복리, 비과세, 신용점수 상승 혜택



청년도전지원사업: 사회 진입 준비용

  • 대상: 최근 6개월 이상 미취업 상태의 만 18~34세 청년
  • 조건: 취업, 교육, 훈련 모두 미참여 상태
  • 지원:
    • 5~25주 프로그램 참여
    • 상담, 직무교육 제공
    • 출석률 따라 수당 최대 350만 원 지급
  • 신청처: 고용24 (work24.go.kr)




청년내일저축계좌: 자산형성 특화

  • 대상: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 청년
  • 나이: 일반 19~34세, 수급·차상위는 15~39세까지
  • 조건: 3개월 이상 근로 또는 사업소득
  • 지원:
    • 중위소득 50~100%: 정부 월 10만 원 지원
    • 중위소득 50% 이하(수급자·차상위): 정부 월 30만 원 지원
  • 총 수령액: 최대 1,440만 원 + 이자 (3년간)
  • 조건: 3년 근로 유지, 교육 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 청년 정책 3종 한눈에 비교

구분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전지원사업
목적자산 형성중장기 목돈 마련사회 진입, 취업 준비
지원 대상저소득 근로 청년중산층 이상 청년비활동 상태 청년
저축 기간3년5년최대 6개월
월 저축금액10만 원40~70만 원없음 (참여 수당 지급)
정부 지원월 10~30만 원월 최대 12만 원 + 비과세최대 350만 원 수당
최대 수령액1,440만 원약 5,000만 원 이상350만 원 이내
특징소득 조건, 교육 이수 필요복리, 비과세, 신용점수 혜택출석 기반 수당, 상담 중심


중복 가입 가능 여부

2025년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진행하는 곳이 다르기 때문에 중복 가입이 가능한것으로 보여집니다. 단 신청시 꼭 문의해보세요. 단,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예: 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두배청년통장 등)과는 중복 가입이 불가하니, 본인이 참여 중인 사업의 성격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조건을 따져야 돈이 모입니다

정부는 청년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쏟아붓고 있지만, 자신의 상황과 맞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중요한 건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선택’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내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정책부터 실행에 옮겨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고용24바로가기👆 

청년내일저축계좌👆





다음 이전